맨위로가기

지구 (중화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중화인민공화국)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단위 중 하나로, 성(省)과 현(县) 사이의 준(准)행정 구획이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행정독찰구로 불렸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78년까지 전구로 약칭되었다가 지구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헤이룽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에 지구(地区)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구행서(地区行政公署)가 행정 기구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성 (행정 구역)
    성은 중국에서 수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원나라 시대에 1급 지방 행정 구획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1급 행정 구획 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단위 - 부성급시
    부성급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급 행정 구역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도시로, 1994년에 16개 지급시가 부성급시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15개가 존재하고, 성도 또는 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지정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타이완성 (중화인민공화국)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는 행정구역이나, 하나의 중국 원칙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통치권은 행사하지 못하고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향 (행정 구역)
    향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행정 구역 명칭으로, 한국 고려 시대에는 천민 거주 지역을 의미했으나 조선 시대에 철폐되었고, 중국에서는 진나라 시대부터 현재까지 존속하며,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율령제 하에 지방 행정의 최하위 단위로 사용되었다.
지구 (중화인민공화국)
개요
이름지구 (地区)
로마자 표기Dìqū
유형행정 구역
소속 국가중화인민공화국
행정 등급
등급2급 (지급행정구)
상위 행정 구역성급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현급 행정 구역
특징
특징성과 현 사이의 중간 단계 행정 구역
역사적 배경중화민국 시기부터 사용됨
구성
구성 요소지급시
지구
자치주
참고
관련 용어부성급시
부지급시
성 직할시
성 직할현
교대한 시

2. 역사

지구의 역사는 크게 중화민국 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행정독찰구로 불렸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전구를 거쳐 지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시기명칭행정 장관행정 기구
중화민국 시기행정독찰구행정독찰전원(行政督察専員)행정독찰전원공서(行政督察専員公署)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전구 (1949년~1978년)
지구 (1978년~)
행서전원 (1949년~1978년)
지구행서전원 (1978년~)
지구행정공서


2. 1. 중화민국 시기 (행정독찰구)

행정독찰구(行政督察区)는 중국의 성과 현 사이의 행정 구역이다. 행정독찰전원공서(行政督察専員公署)에 의해 관리되며, 행정 장관은 행정독찰전원(行政督察専員)이라고 불린다. 이는 중화민국 21년 (1932년)에 행정원이 공포한 《행정독찰전원공서 잠행조례(行政督察專員公署暫行條例)》와 중화민국 25년 (1936년)에 공포한 《행정독찰전원공서 조직잠행조례(行政督察專員公署組織暫行條例)》에 따른 것이다.

"행정독찰구 제도"는 《행정독찰전원공서 잠행조례》 공포 이후의 전면적인 행정 구획 제도였다. 모든 행정독찰구는 "호남성 제2행정독찰구"(현재의 상덕시)와 같이 성별로 서수로 불렸다. 서수로 이름을 붙이는 데에 폐해가 발생하여, 중화민국 37년 (1948년)에 모든 행정독찰전원공서가 있는 지명으로 부르게 되었다. 따라서 호남성 제2행정독찰구는 "상덕행정독찰구"로 개명되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전구, 지구)

1949년 중국공산당이 정권을 획득한 후 1978년까지 '행정독찰구'는 '전구'로 약칭되었다. 그 행정 장관은 '행서전원'이라고 불렸으며, 기구와 성질은 모두 행정독찰구와 같았다. 1978년 이후에는 '지구'로 개칭되었다. 지구행서의 인원, 기구 편성은 자치주, 지급시와 같으며 그 기관의 근본은 정부와 상동하다. 지구는 행정전원공서의 관할하에 있는 구역을 가리킨다.

  • 행정 장관: 지구행서전원
  • 행정 지위: 준행정구획 (성과 현 사이)
  • 행정 기구: 지구행정공서 (지구전원공서)

3. 행정 체계

이론상 중화인민공화국은 , , 의 3단계 행정 관리 체제를 시행하고 있다. 헌법에서는 성도 등 비교적 큰 도시나 자치주에 현(자치현 포함)과 시할구의 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관할 지역이 비교적 좁은 하이난성을 제외하고, 사실상 현급 행정 구획은 모두 지급 행정 구획의 관리하에 있다.

성-현-향의 3단계 행정 체제는 실제로는 성-지구-현-향의 4단계 행정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체제의 문제점으로는 중앙 정부의 명령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예산이 주요 도시의 기반 시설 건설에 집중되어 외곽 지역이 소외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의 직접 관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2004년 전후부터 점차 경제적으로 성의 직접 관리를 시행하기 시작했다.

중국 대륙에서 "지급 행정구"(地級行政区)는 성(省)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지구, 지급시(地級市), 자치주, 맹(盟)을 포함한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중국 대륙에는 333개의 지급 행정구가 있으며, 그중 7개가 지구, 293개가 지급시, 30개가 자치주, 3개가 맹이다.

지구는 행정전원공서의 관할 하에 있는 구역을 가리킨다.


  • 행정 장관: 지구행서전원
  • 행정 지위: 준행정구획 (성과 현 사이)
  • 행정 기구: 지구행정공서 (지구전원공서)


2023년 4월 3일 기준 지급 행정구와 현급 행정구의 통계
지역지급 행정구현급 행정구
합계지급시지구자치주합계시할구현급시자치현자치기특구임구
베이징시1616
톈진시1616
허베이성11111674921916
산시성1111117261180
내몽골 자치구1293103231117493
랴오닝성14141005916178
지린성981602120163
헤이룽장성131211215421451
상하이시1616
장쑤성131395552119
저장성1111903720321
안후이성161610445950
푸젠성9984311142
장시성1111100271261
산둥성1616136582652
허난성1717157542182
후베이성1312110339263521
후난성141311223619607
광둥성21211226520343
광시 좡족 자치구141411141104812
하이난성442510546
충칭시382684
쓰촨성2118318355191054
구이저우성96388161050111
윈난성168812917186529
티베트 자치구761748264
산시성101010731769
간쑤성1412286175577
칭하이성8264475257
닝샤 후이족 자치구55229211
신장 위구르 자치구144551081329606
홍콩 특별 행정구
마카오 특별 행정구


4. 지급 행정구

중국 대륙에서 "지급 행정구"(地級行政区)는 지구와 동일한 행정 구역을 가리키며, (省)의 하위 행정 구역이다. 여기에는 지구, 지급시(地級市), 자치주, 맹(盟)이 있다.

이론상 중국은 , , 의 3단계 행정 관리 체제를 시행하며, 헌법에서는 성도 등 비교적 큰 도시나 자치주에 현(자치현 포함), 시할구의 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다만, 관할 지역이 비교적 좁은 하이난성을 제외하고, 사실상 현급 행정 구획은 모두 지급 행정 구획의 관리하에 놓여 있다.

성-현-향의 3단계 행정 체제는 실제로는 성-지구-현-향의 4단계 행정 체제가 되고 있다. 그 폐해의 첫째는 중앙 정부의 정령이 지체되는 것이고, 둘째는 재력이 지나치게 주요 도시의 인프라 설비 건설에 집중되어 다른 지역이 경시되는 것이다. 현재, 성의 직접 관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2004년 전후부터 점차 경제적으로 성의 직접 관리를 실행하기 시작했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중국 대륙에는 지급 행정구가 333개가 있으며, 그중 7개가 지구, 293개가 지급시, 30개가 자치주, 3개가 맹이다.

2023년 4월 3일 기준 지급 행정구와 현급 행정구의 통계
지역지급 행정구현급 행정구
합계지급시지구자치주합계시할구현급시자치현자치기특구임구
베이징시1616
톈진시1616
허베이성11111674921916
산시성1111117261180
내몽골 자치구1293103231117493
랴오닝성14141005916178
지린성981602120163
헤이룽장성131211215421451
상하이시1616
장쑤성131395552119
저장성1111903720321
안후이성161610445950
푸젠성9984311142
장시성1111100271261
산둥성1616136582652
허난성1717157542182
후베이성1312110339263521
후난성141311223619607
광둥성21211226520343
광시 좡족 자치구141411141104812
하이난성442510546
충칭시382684
쓰촨성2118318355191054
구이저우성96388161050111
윈난성168812917186529
티베트 자치구761748264
산시성101010731769
간쑤성1412286175577
칭하이성8264475257
닝샤 후이족 자치구55229211
신장 위구르 자치구144551081329606
홍콩 특별 행정구
마카오 특별 행정구


5. 현황 및 문제점

중국 대륙에서 "지급 행정구"(地級行政区)는 지구와 동일한 행정 구역을 가리키며, (省)의 하위 행정 구역이다. 여기에는 지구, 지급시(地級市), 자치주, 맹(盟)이 있다.

이론상 중국은 , , 의 3단계 행정 관리 체제를 시행하며, 헌법에서는 성도 등 비교적 큰 도시나 자치주에 현(자치현 포함), 시할구의 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다만, 관할 지역이 비교적 좁은 하이난성을 제외하고, 사실상 현급 행정 구획은 모두 지급 행정 구획의 관리하에 놓여 있다.

성-현-향의 3단계 행정 체제는 실제로는 성-지구-현-향의 4단계 행정 체제가 되고 있다. 그 폐해의 첫째는 중앙 정부의 정령이 지체되는 것이고, 둘째는 재력이 지나치게 주요 도시의 인프라 설비 건설에 집중되어 다른 지역이 경시되는 것이다. 현재, 성의 직접 관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2004년 전후부터 점차 경제적으로 성의 직접 관리를 실행하기 시작했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중국 대륙에는 지급 행정구가 333개가 있으며, 그중 7개가 지구, 293개가 지급시, 30개가 자치주, 3개가 맹이다.

2023년 4월 3일 기준 지급 행정구와 현급 행정구의 통계는 다음과 같다.

2023년 4월 3일 기준 지급 행정구와 현급 행정구의 통계
지역지급 행정구현급 행정구
합계지급시지구자치주합계시할구현급시자치현자치기특구임구
베이징시1616
톈진시1616
허베이성11111674921916
산시성1111117261180
내몽골 자치구1293103231117493
랴오닝성14141005916178
지린성981602120163
헤이룽장성131211215421451
상하이시1616
장쑤성131395552119
저장성1111903720321
안후이성161610445950
푸젠성9984311142
장시성1111100271261
산둥성1616136582652
허난성1717157542182
후베이성1312110339263521
후난성141311223619607
광둥성21211226520343
광시 좡족 자치구141411141104812
하이난성442510546
충칭시382684
쓰촨성2118318355191054
구이저우성96388161050111
윈난성168812917186529
티베트 자치구761748264
산시성101010731769
간쑤성1412286175577
칭하이성8264475257
닝샤 후이족 자치구55229211
신장 위구르 자치구144551081329606
홍콩 특별 행정구
마카오 특별 행정구


6. 중화인민공화국의 지구 목록

중화인민공화국의 지구는 성급 행정 구역인 성, 자치구에서 관할하는 현급 행정 구역이다. 1970년부터 설치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대부분 지급시로 변경되었으며, 2023년 기준으로 7개의 지구가 남아있다. 이들은 헤이룽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에 속해 있다.

지구 명칭중국어 표기상위 행정 구역설치 연월행정 공서 소재지현급시자치현
다싱안링 지구大兴安岭地区헤이룽장성1970년 4월자거다치 구124
아커쑤 지구阿克苏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1968년 9월아커쑤 시27
카스 지구喀什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1968년 9월카스 시1101
허톈 지구和田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1968년 9월허톈 시17
타청 지구塔城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이리 카자흐 자치주1968년 9월처체크 시331
아러타이 지구阿勒泰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이리 카자흐 자치주1968년 9월아러타이 시16
나취 지구那曲地区티베트 자치구
아리 지구阿里地区티베트 자치구1970년 11월가르 현 스취안허진7


6. 1. 헤이룽장성

지구 명칭중국어 표기상위 행정 구역설치 연월행정 공서 소재지현급시자치현
다싱안링 지구大兴安岭地区헤이룽장성1970년 4월자거다치 구124


6. 2.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구 명칭중국어 표기상위 행정 구역설치 연월행정 공서 소재지현급시자치현
아커쑤 지구阿克苏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1968년 9월아커쑤 시27
카스 지구喀什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1968년 9월카스 시1101
허톈 지구和田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1968년 9월허톈 시17
타청 지구塔城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1968년 9월처체크 시331
아러타이 지구阿勒泰地区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1968년 9월아러타이 시16


6. 3. 티베트 자치구

지구 명칭중국어 표기상위 행정 구역설치 연월행정 공서 소재지현급시자치현
나취 지구那曲地区티베트 자치구
아리 지구阿里地区티베트 자치구1970년 11월가르 현 스취안허진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